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면역세포활성화
- 기억력식단
- 2025티스토리수익화
- 수명연장습관
- 사케추천
- 2025도쿄여행
- 일본사케추천
- 헬스케어트렌드
- 응원하기종료
- #웹개발 #2025트렌드 #ai #서버리스 #반응형디자인 #웹트렌드
- 일본여행
- 개발팁
- 개발자취업
- 뇌기능활성
- 후쿠오카
- 신입개발자
- 일본
- 시부야 추천
- 안양또간집
- 시부야 술집
- 돌연사위험
- 프리미엄사케
- 시부야 술집 추천
- 서울근교여행
- 사케
- 코드리뷰
- 개발습관
- 녹지종로점
- 티스토리정책변경
- 생활습관개선
- Today
- Total
맛존의 이야기
클린 코드 작성 팁 정리 본문
읽기 쉽고 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를 위한 실전 가이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좋은 코드는 단순히 잘 작동하는 코드가 아닙니다. 클린 코드는 동료 개발자나 미래의 자신이 코드를 읽고 이해하며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작성된 코드입니다. 클린 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은 협업 효율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며, 나아가 코드 품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클린 코드 작성 팁들을 정리해드립니다. 변수명부터 함수 구조, 주석 활용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코드를 더 깔끔하고 명확하게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가독성 중심 | 코드의 목적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지보수 고려 | 다른 개발자가 수정하거나 확장하기 쉽게 구조화되어야 합니다. |
클린 코드의 첫걸음은 의미 있는 이름 짓기입니다.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은 코드가 무엇을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alculate()
보다는 calculateTotalPrice()
처럼 보다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이름을 사용해야 코드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줄임말이나 애매한 표현은 지양하고, 이름만 봐도 역할이 파악되는 명명을 지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협업뿐만 아니라 나중에 코드를 다시 볼 때 이해하는 속도를 크게 높여줍니다.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역할만 하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기능이 많아질수록 함수는 읽기 어렵고, 재사용도 어려워집니다. 한 함수가 여러 일을 처리하고 있다면, 관련 기능 단위로 분리하여 재사용성과 테스트 편의성을 높여야 합니다. 또한 조건문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면 early return을 통해 코드의 깊이를 줄이고 의도를 명확히 드러내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보다 "왜 이렇게 작성되었는가"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클린 코드는 불필요한 주석을 줄이고, 코드 자체로 의미를 전달해야 합니다. 잘 짜인 코드에는 굳이 설명이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단, 복잡한 로직이나 왜 특정한 방식으로 작성했는지를 설명해야 할 경우에는 간결한 주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관된 코드 스타일(들여쓰기, 괄호 위치 등)을 유지하는 것도 클린 코드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협업 시 가독성과 리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네이밍 | 단일 책임 원칙 | 간결한 주석 |
읽기 쉬운 이름이 곧 문서입니다 | 한 함수는 한 가지 일만 하도록 설계 | 왜 필요한지를 설명하는 주석만 남기기 |
줄임말과 애매한 이름은 지양 | 코드 재사용성과 테스트 용이성 증가 | 과도한 설명은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음 |


Q. 주석은 무조건 줄이는 게 좋을까요?
무의미한 주석은 줄이되, 복잡한 로직이나 의도 설명이 필요한 곳에는 명확하고 간결한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함수 분리를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
함수 내에서 반복되거나 독립적인 로직은 별도 함수로 분리하세요. ‘한 가지 일만 하도록’ 원칙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됩니다.
Q. 클린 코드를 위한 추천 도서는?
로버트 C. 마틴의 『클린 코드(Clean Code)』는 필독서입니다. 실제 사례와 원칙 중심 설명이 매우 유익합니다.
클린 코드는 개발자의 기본 실력뿐만 아니라 팀워크와 유지보수의 핵심입니다. 읽기 쉬운 이름, 단일 책임 함수, 의도를 드러내는 구조는 모든 코드의 기본이며, 불필요한 설명 없이도 이해되는 코드가 가장 좋은 코드입니다. 오늘 소개한 팁들을 통해 나만의 클린 코드 습관을 하나씩 만들어가 보세요.
여러분은 어떤 클린 코드 팁을 실천 중이신가요?
클린 코드를 위한 여러분의 습관이나 팁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다른 개발자들과 함께 더 좋은 코드 문화를 만들어가요!
태그:
'취미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를 활용한 협업 가이드 (0) | 2025.04.29 |
---|---|
개발자 취업을 위한 필수 스킬셋 (0) | 2025.04.29 |
사이드 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 만드는 법 (0) | 2025.04.28 |
REST vs GraphQL 완전 비교 가이드 (0) | 2025.04.26 |
신입 개발자가 자주 실수하는 코드 패턴 (0) | 2025.04.25 |